곡명 Pictures at an Exhibition
작곡 Modest Mussorgsky
관현악 편작 Maurice Ravel
편작 Tohru Takahashi
연주 Tokyo Kosei Wind Orchestra
지휘 Kahchun Wong
관악 편작 Mark Hindsley
연주 Tokyo Kosei Wind Orchestra
지휘 Frederick Fennell
연주 Osaka Shion Wind Orchestra
지휘 Kazuyoshi Akiyama
'전람회의 그림'(Pictures at an Exhibition)은 러시아의 작곡가 '모데스트 무소륵스키'(Modest Mussorgsky)에 의해 1874년에 피아노 모음곡으로 발표된 작품이다.
곡은 무소륵스키의 절친한 친구 '빅토르 하트만'(Viktor Alexandrovich Hartmann)이 세상을 떠나고 그를 추모하기 위한 전시회를 다녀온 뒤 작곡되었다.
1870년부터 무소륵스키와 같은 서클에 가입하여 절친한 친구로 지내던 건축가 겸 화가 '빅토르 하트만'은 1873년 7월 23일 동맥 질환으로 3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게 된다.
빅토르의 동료 건축가 '블라디미르 스타소프'(Vladimir Stasov)는 그의 죽음을 추모하고자 400여 점의 유작을 모아 이듬해 1874년 2월부터 3월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미술 아카데미에서 전시회를 개최한다.
전시회를 방문한 무소륵스키는 산책로를 걸으며 작품을 감상하던 가운데 10여점의 그림에서 떠난 친구에 대한 상념과 애도의 마음을 더하여 같은 해에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Pictures at an Exhibition)을 완성하고 빅토르의 전시회를 위해 헌신한 '스타소프'에게 곡을 헌정하였다.
당시 전시되었던 그림들은 러시아를 비롯하여 프랑스와 로마, 폴란드 등 유럽 여러나라의 풍경이 담겨있었다.
또한 10장의 그림들이 불규칙하게 늘어서지 않고 산책하듯이 전시회장을 걸으며 순회할 수 있도록 전시되어 있어 무소륵스키는 곡마다 '프롬나드'(Promenade)라는 짧은 전주곡 또는 간주곡을 삽입하여 마치 전시회장을 거닐며 작품을 감상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아울러 곡과 곡 사이에 삽입되어 음조의 변화와 함께 다음 곡의 분위기를 묘사하는 역할을 한다.
당초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으로 작곡되었으나 후세의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관현악곡 편성으로 작곡되었다. 특히 프랑스 낭만주의의 거장 모리스 라벨의 오케스트레이션에 의한 트럼펫 독주로 시작하는 편곡이 가장 유명하다.
편작 Tohru Takahashi
지휘 The Symphonic Band of the Lemmens Conservatory
연주 Jan Van der Roost
프롬나드 1 (Promenade 1)
내림나장조. 5/4박자 - 6/4박자
제1곡 난쟁이 (Gnomus)
내림마단조. 3/4박자 - 4/4박자
우리말로 ''난쟁이'로 쓰인 그노무스는 러시아의 민화에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사랑스러운 요정을 가리킨다.
프롬나드 2 (Promenade 2)
내림가장조. 5/4박자 - 6/4박자
제2곡 옛 성 (Il vecchio castello)
올림 사단조. 6/8박자
유일하게 이태리어로 곡명이 쓰여 있는 시칠리아 풍의 곡이다. 그림은 중세의 옛 성 앞에서 시인이 노래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프롬나드 3 (Promenade 3)
나장조. 5/4박자 - 6/4박자 - 4/4박자
제3곡 튈르리 궁. 아이들의 다툼 (Tuileries. Disput d’enfants après jeux)
나장조. 4/4박자
파리 루브루 박물관 옆에 위치한 튈르리 궁과 뜰을 뛰노는 아이들의 정경을 담고 있다. 그림은 하트만이 프랑스 유학 중에 본 장면을 그렸다고 한다.
제4곡 우마차 (Bydlo)
올림사단조. 2/4박자
프롬나드 4 (Promenade 4)
라단조 5/4박자 - 6/4박자 7/4박자 - 3/4박자
제5곡 껍질을 덜 깬 병아리들의 발레 (Ballet of unhatched fledglings)
바장조. 2/4박자
제6곡 사무엘 골덴 베르크와 슈밀레 (Samuel Goldenberg und Schmuyle)
내림나단조. 3/4박자 - 4/4박자
대조적 모습을 가진 유대계 폴란드인 두 사람이 등장하는 곡이다. 부유한 모습의 뚱뚱한 사무엘 골덴 베르크와 가난한 아첨꾼 슈밀레가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프롬나드 5 (Promenade 5)
내림나장조. 5/4박자 - 6/4박자 - 7/4박자
제7곡 리모 시장 (Limoges, The Market Place)
내림나장조. 4/4박자 - 3/4박자 - 4/4박자
제8곡 지하 묘지 - 로마 시대의 무덤 (Catacombae - Sepulchrum Romanum)
가단조. 3/4박자
로마의 지하 묘지 카타콤을 그린 곡이다. 원화에선 파라의 지하 묘지로 향하는 빅토르 자신도 함께 그려져 있다.
친구의 죽음을 애도하듯이 전반에 걸쳐 단조로 연주되지만, 중간부에 장조의 밝은 빛의 울림이 잠깐 들려오기도 한다.
죽은 자의 말 망자의 호소 (Cum mortuis in lingua mortua)
나단조. 6/4박자
카타콤의 두 번째 곡은 프롬나드의 변주 형식으로 쓰여 있다. 무소륵스키가 빅토르에게 말을 건네는 듯한 전개로 이어지다가 후반부는 빅토르의 영혼이 구원받아 천국으로 향하는 모습을 그린다.
제9곡 암탉 발 위 오두막 - 바바 야가 (La cabane sur des pattes de poule - Baba-Yaga)
가단조. 2/4박자 - 4/4박자 - 2/4박자 - 2/4박자
곡명에 쓰인 것과 같이 닭다리 위에 오두막의 형태를 한 시계가 그려져 있다. 러시아의 민담에 자주 들장하는 마녀 '바바 야가'는 숲에 숨어 살며 사람을 잡아먹는다고 알려져 있다.
제10곡 키이우의 대문(The Heroes’ Gate at Kiev)
내림나장조. 2/2박자 - 4/4박자
제9곡에서 아타카되어 연주되는 제10곡 키이우의 대문은 슬라브 스타일의 투구형 둥근 지붕을 가진 고대 러시아 도시 대문이 묘사되어 있다.
관악합주 편성으로 편곡된 '전람회의 그림' 가운데 명연으로 손꼽히는 음원은 '프레데릭 펜넬'이 지휘하는 '도쿄 코세이 윈드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유명하다.
이 버전은 모리스 라벨에 의한 관현악 버전을 관악합주 편성으로 재편곡한 버전으로 미국의 지휘자 겸 작곡가 '마크 힌즐리'(Mark Hindsley)가 편곡을 담당한 악보를 사용하여 녹음되었다.
음원은 2000년 9월 9일에 '코세이 퍼블리싱'(Kosei Publishing Co)에서 제작한 '페이보릿 패스트 앨범 시리즈 제3집'(Favorite Past Album Series Vol.3) 'The Firebird 1919 Pictures at an Exhibition'의 수록곡으로 공개되었다.
'마크 힌즐리'의 편작 악보를 다룬 음원 중에서 '카즈요시 아키야마'의 지휘와 '오사카시 음악단'과의 연주에 의해 2016년 12월 26일에 '폰텍 레이블'(Fontec Inc)에서 내놓은 Pictures an Exhibition도 명연으로 소개되는 앨범이다.
앨범은 2015년 11월 오사카 더 심포니홀에서 개최된 '오사카시 음악단'의 제112회 정기 연주회의 실황 녹음으로 발매되었다.
한편 독주 트럼펫의 장엄한 울림에서 시작하는 프롬나드가 아닌 비브라폰과 첼레스타로 배치되어 편곡된 '타카하시 토오후'에 의한 편작 버전도 잘 알려진 관악합주 버전 가운데 하나이다.
이 음원은 1999년에 네덜란드의 '데 하스케 레코드'가 제작한 '그레이트 클래식 시리즈 제6집'(The Great Classics Series 6)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레멘스 음악원 심포닉 밴드의 연주로 녹음이 이루어진 버전으로 편곡가 '타카하시 토오후'는 음원 제작 당시 지휘를 맡았던 벨기에의 작곡가 '얀 반 데 루스트'에게 악보를 헌정하였다.
'관악합주 음악 > 클래식・민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ddle Faddle - Leroy Anderson 피들 패들 - 르로이 앤더슨 (0) | 2021.03.23 |
---|---|
Cuban Overture - George Gershwin 쿠바 서곡 - 조지 거슈인 (0) | 2021.03.21 |
Gayane - Aram Khachaturian 발레 음악 가이느 - 아람 하차투리안 (0) | 2021.03.19 |
Rodeo (Four Dance Episodes) - Aaron Copland 로데오 (네 개의 무곡 에피소드) - 아론 코플랜드 (0) | 2021.02.04 |
Hava Nagila - 하바 나길라 (이스라엘 민요)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