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명 Moon River
작곡 Henry Mancini
작사 Johnny Mercer
음악 Audrey Hepburn
클래식 기타 무라지 카오리 (Kaori Muraji)
'문 리버'(Moon River)는 1961년에 개봉한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Breakfast At Tiffany's, 감독 '블레이크 에드워즈)의 주제곡으로 극 중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화배우 '오드리 헵번'에 의해 불려진 음악이다.
곡은 1952년에 미국의 영화사 '유니버설 스튜디오'에 합류하여 1958에 NBC제작의 TV 드라마 '피터 건'(Peter Gunn)의 음악감독으로 데뷔, '핑크 팬더', '술과 장미의 나날들' 등의 영화의 OST를 작곡하여 성공시킨 영화음악계의 대부 '헨리 맨시니'(Henry Mancini)에 의해 작곡되었으며, 달의 강을 소재로 하여 추상적인 분위기로 쓰인 곡의 가사는 당시 할리우드에서 작사가 겸 가수로 활동한 '조니 머서'(Johnny Mercer)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들 콤비에 의해 완성된 영화음악 '문 리버'는 이듬해 1962년 4월에 개최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주제가상과 음악상을 수상, 다음 달 5월에 개최된 '제4회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올해의 레코드상'과 '올해의 노래'에 선정된다.
영화는 뉴욕 맨해튼을 배경으로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는 주인공 '홀리'(오드리 헵번)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쳐간다.
슬로 왈츠 풍의 리듬에 아름다운 선율로 노래되는 '문 리버'는 극 중 홀리가 자신의 아파트뒤편 비상계단 창가에서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를 흥얼거리는 장면으로 스크린에 등장한다.
10개의 행으로 이뤄진 짤막한 가사는 한 편의 낭만적인 시와 같은 분위기를 자아내는 문구들로 채워져 있어 음악을 감상하는 사람에게 마치 로맨틱한 꿈을 꾸는 듯한 감정을 전달한다.
오드리 헵번이 이 곡을 부르기까지의 과정은 순탄하지는 않았다.
영화 제작사는 헵번의 가창력을 문제 삼아 그녀가 이 곡을 직접 부르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비추며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더빙하여 영화를 제작하는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작곡가 '헨리 맨시니'의 생각은 그들과 달랐다. 맨시니는 1957년에 공개된 뮤지컬 영화 '화니 페이스'(Funny Face)에서 주연을 맡았던 헵번의 창법을 참고하여 그녀가 소화 가능한 보컬 범위 내에서 멜로디를 구상, 좁은 음역에서도 충분히 노래가 가능한 특별한 곡을 작곡한다.
이것과 관련하여 맨시니의 아내는 2015년에 영국의 방송사 BBC와 한 인터뷰 내용 중 '그가 처음 세 소절을 작성하는데 약 1개월의 시간이 필요했지만, 나머지는 30분 만에 곡을 완성하였다'라고 밝히기도 하였다.

곡의 멜로디 윤곽을 잡은 맨시니는 1,500여 편의 작사 경력을 가진 할리우드의 베테랑 작사가 '조니 머서'에게 '문 리버'의 가사를 의뢰한다.
맨해튼을 배경으로 한 영화의 분위기 상 뉴욕의 '허드슨 강'에 대한 노래로 오해받는 곡의 가사는, 사실 머서가 자신이 어린 시절을 보낸 미국 조지아 주 동쪽 해안에 있는 항구 도시 '서배너'(Savannah)의 번 사이드 섬을 흐르는 '화이트 리버'(White River)를 내려다보던 추억을 떠올리며 작사한 것이라고 '현지 잡지' 서배너 나우'(Savannah Now)에 밝혔다.
최초 발표 당시의 곡명은 '화이트 리버'를 빗댄 '블루 리버'(Blue River)라는 가제를 썼으나, 이미 등록된 곡명으로 사용할 수 없어 '문 리버'(Moon River)로 곡명을 교체하였고 영화의 발표 후 1 년 뒤 조지아 주의 채텀 카운티 행정위원회는 영화 음악의 인기를 반영하여 '화이트 리버'(White River)의 일부 구간을 '문 리버'(Moon River)로 개명하기도 한다.
가사 내용 중 '마크 트웨인'(Mark Twain)의 소설 '허클베리 핀의 모험'(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에 쓰인 것과 유사한 '마이 허클베리 프렌드'(My Huckleberry Friend, 나의 허클베리 친구)라는 문구가 등장한다.
머서는 이 가사의 의미에 대하여 자신이 남부의 강기슭에서 자라던 어린 시절 따먹었던 철쭉과의 블루 베리를 닮은 열매라고 설명하며 영화의 주인공 '홀리'가 남부의 삼림 지대 출신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그녀의 어릴 적 향수와 추억을 떠올리는 뉘앙스를 담아 가사에 '마이 허클베리 프렌드' 문구를 사용하였다고 설명했다.
오늘날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의 상징을 뛰어넘어 음악만으로 영화의 모든 것으로 소개하는 '문 리버'는 영화의 각본이 너무 길다는 이유로 파라마운트 픽쳐스 스튜디오의 책임자에 의해 삭제될 순간을 겪기도 한다.
개봉 전 시사회는 성공적이었지만, 영화의 상영시간이 너무 길어 부분적으로 장면을 삭제하여 러닝타임을 줄이고자 계획을 세우던 중, 홀리가 아파트의 비상구에서 문 리버를 노래하는 장면이 삭제 구간으로 포함된다.
하지만 맨시니와 헵번이 이 장면의 삭제에 대해 강한 반대의사를 밝힌 덕분에 헵번이 노래하는 어쿠스틱 한 분위기의 낭만적인 명장면이 스크린에 올려져 오늘날까지 대중에게 큰 감동의 장면으로 기억된다.
영화의 성공과 함께 대중에게 이름을 알린 영화음악 '문 리버'는 이듬해 1962년에 '앤디 윌리엄스'가 미국의 방송사 NBC에서 방송한 자신의 TV쇼 '앤디 윌리엄스 쇼'의 주제곡으로 사용하며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며 유명해진다.
이후 '문 리버'는 '루이 암스트롱'과 '엘튼 존' 등 재즈와 팝의 장르를 넘나드는 수많은 거장 아티스트들에 의해 해석되어 다루어지며 오늘날까지 팝과 영화음악의 명곡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편곡 : 마이클 브라운 (Michael Brown)
출판사 : 헐 레너드 퍼블리싱 (Hal Leonard Publishing)
연주시간 : 약 3분 30초 (출판사 표기)
출판연도/국가 : 2013년/미국
곡 정보 : '문 리버'의 탄생 50주년을 기념하여 미국의 작곡가 '마이클 브라운'이 독주 보컬과 관악합주 편성의 버전으로 편곡하여 발표한 작품이다.
악보의 구성은 독주 보컬 외에 알토 색소폰을 비롯하여 클라리넷과 크럼펫, 호른 등 악단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악기에서 독주 연주가 가능하도록 파트보가 포함되어 있다.
편곡 : 쿠시다 테츠노스케 (Tetsunosuke Kushida)
출판사 : 윈즈 스코어 (Winds Score Inc.)
연주시간 : 약 5분 30초 (출판사 표기)
출판연도/국가 : 2008년/일본
곡 정보 : 일본의 관악합주 전문 출판사 '윈즈 스코어'에서 2008년 3월 17일에 '취주악 재즈' 시리즈로 출판한 작품이다.
연주 : 도쿄 코세이 윈드 오케스트라 (Tokyo Kosei Wind Orchestra)
지휘 : 나오히로 이와이 (Naohiro Iwai)
편곡 : 우에시바 하지메 (Hajime Ueshiba)
출판사 : 야마하 뮤직 퍼블리싱 (YAMAHA MUSIC PUBLISHING)
연주시간 : 약 5분 10초 (출판사 표기)
출판연도/국가 : 1996년/일본
곡 정보 : 도시바 EMI에서 1996년 5월 16일에 발매한 '뉴 사운드 인 브라스' 24집의 다섯 번째 수록곡으로 음원이 발표된 작품이다.
이 버전은 피아니스트 겸 NHK방송의 음악 교육 프로그램의 출연자로 유명한 '우에시바 하지메'의 '뉴 사운드 인 브라스'의 데뷔 작으로, 그는 '뉴 사운드 인 브라스' 시리즈를 통해 단 두 편의 관악합주 편곡 작품만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악보의 프로그램 노트에는 보편적인 악곡에 대한 설명이나 연주에 대한 조언 대신, 달과 소년을 배경으로 하는 한 편의 동화와 같은 스토리가 쓰여 있으며 마지막 문구에는 '이러한 분위기를 떠올리며 연주하길 바란다'는 우에시바의 짤막한 조언이 기록되어 있다.
'넓고 아름답게'라는 지시에 의해 출발하는 곡은 깊은 밤을 잔잔히 흐르는 고요한 강을 떠오르게 하는 선율로 시작하여 독주 트럼펫에 의해 밤하늘을 수놓는 듯한 주제 선율을 제시한다.
분위기에 변화를 주며 보사노바 리듬으로 전개되는 곡은 독주 플루트에 의해 세련된 애드리브를 선보인다.
속도감에 완급을 주며 문 리버의 선율을 다채로운 분위기로 펼쳐 보인 후 Tempo I에서 서주부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연주 : Japan Air Self Defence Force Central Band
편곡 : 타카시 호시데 (Takashi Hoshide)
출판사 : 로켓 뮤직 (Rocket Music)
연주시간 : 약 4분 56초 (출판사 표기)
출판연도/국가 : 2007년/일본
곡 정보 : 작곡자 '타카시 호시데'에 의해 하모니카와 관악합주를 위해 쓰인 버전으로 'King Records'에서 2007년 7월 23일에 발매한 GOLD POP 1집 앨범 '심포닉 밴드, 재즈의 거장을 만나다'(Jazz Giants meet The Symphonic Band)의 열 번째 수록곡으로 음원이 발표된 관악합주 작품이다.
깊은 향수가 배어있는 하모니카의 울림으로 멜로디가 제시되고 나면 중저음의 앙상블이 포근한 음색으로 선율에 감정을 더한다. 트럼펫을 비롯한 다양한 악기들이 주제를 이어받으며 심포닉 밴드 특유의 사운드로 확장하여 거대한 울림으로 고조된 후 독주 하모니카에 의해 주제의 재현이 이루어지고 함께 코다를 장식하며 막을 내린다.
'관악합주 음악 > 영화・애니・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의 회전목마 - 히사이시 조 (지브리 애니메이션 하울의 움직이는 성 OST 테마곡) (0) | 2019.09.15 |
---|---|
언제나 몇 번이라도 Always With Me (지브리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OST 엔딩테마) (0) | 2019.09.11 |
Raiders March - John Williams 레이더스 행진곡 (영화 '인디아나 존스' 주제곡) - 존 윌리엄스 (0) | 2019.08.26 |
Gabriellas Sang (from Sa som I Himmelen) 가브리엘라의 노래 (영화 천국에 있는 것처럼 중에서) (0) | 2019.08.03 |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캔 유 필 더 러브 투나잇 (0) | 2019.07.27 |